블로그 이미지
으앙아아앙
정신적 고자인지 초식남인지, 혹은 도 닦는 스님이 될 팔자인지. 자아정체성이 아직도 헷갈리는 이십대 머저리의 창고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김훈'에 해당되는 글 1

  1. 2013.01.12 [읽기]현의 노래
2013. 1. 12. 00:29 읽고



전에 경복궁 탐방 후기에도 썼지만 나는 김훈을 매우 좋아한다.

자전거 여행같은 식의 글도 좋고 칼의 노래와 같은 식의 글도 좋아한다. 문체 자체에 차분함이 배어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차분해지는 느낌이 좋아서 같은 책을 두세번씩 읽곤 하는데, 예외적으로 도저히 한 번밖에 읽지 못하겠던 책. 이상하게 읽을수록 내 몸이 짓눌리는 기분이 들어서 다시 책장을 펼칠 엄두가 나지 않았던 현의 노래이다.

글이란 건 참 이상하다. 몇 줄 문장에 나는 까닭모를 서늘함을 느끼기도 하고, 웅대한 생각의 문제에 짓눌려 잠 못 이루기도 하며, 괴이한 일을 상상하며 써내렸을 작가를 상상하며 인상을 찌푸리기도 한다.

글에 대해 나름의 정의를 내릴 수 있을 정도로 많이 읽지는 못해 글을 읽을 때 간혹 글이란 어떤 것일까 궁금해 하지만, 여전히 내게는 어려운 것들이므로 혹시 이러이러한 것이 아닐까 하고 추측만 내릴 수 있을 뿐이다. 누구든 글을 쓸 수는 있지만, 자신의 글로서 타인에게 연결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진 글을 쓸 수 있는 사람은 모두가 아니다. 그럼에도 '연결'이 가능한 능력을 지닌 사람의 수는 여전히 많고, 그 사람 하나하나의 손에서는 각기 다른 공간이 열리고, 각기 다른 사람이 숨을 쉬기에 아직도 글은 정의하기에 어려운 것이다.

김훈은 자신의 글로 타인을 연결 시킬 수 있는 작가라고 생각한다. 많지 않은 소재를 가지고 자신의 방식으로 새로운 공간을 열 수 있으며, 그 공간은 실재하는 것처럼 정교하여 생각의 무거움이 여실히 글의 모양에서 느껴져 내가 좋아하는 글을 써내려간다. 언제고 그의 글을 읽으면 내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음을 느끼니 그의 연결은 나를 쥐고 흔들 수 있는 큰 길임을 알 수 있어 좋다.

쇠와 소리에 대한 이야기를 두 장인과 한 장수의 눈에서 풀어나간 현의 노래는, 사실 칼의 노래의 속편 쯤 되지 않을까 싶어 고른 책이었다.

두 장인이 가진 자신의 세계에 대한 탐구는 그 방식이 달랐음을 느꼈는데, 책의 끝에서는 서로 얽힌 듯 엮이지 않고 평행선을 달리던 두 개의 다른 모양의 탐구가 장수에 의해 다른 방향의 길로 향한다. 확신과 부정, 독선과 포용의 차이가 그 둘에게는 있었다. 야로는 쇠의 흐름을 깨닫고 쇠가 아닌 다른 것들에 대한 생각은 가지지 않았다. 결국 쇠도 인간이 쓰는 한 인간에게 예속된다는 것을 알고서는 더 이상의 질문을 던지지 않고 자신과 다른 길을 통해 쇠로 향하는 사람들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우륵은 덧 없는 소리를 계속해서 찾아 헤메었다. 소리는 살아있는 것들의 전유물이라고 여겼지만, 살아있는 것이 너무도 많고 제각기 다른 소리를 품었기에 그의 탐구는 해답을 찾을 수 없는 긴 미로였다.

그렇기에 우륵은 악기라는 소리를 다루는 물건만을 가지고 답을 찾으려 하기보다는, 소리를 품은 그 모든 살아있는 것들에게서 답을 찾으려 했다. 두 장인의 차이는 아마 지속성에서 나타나지 않았나 싶다. 쇠는 백 번을 두드려 쇠도끼가 되건, 검이 되건, 깨어져버리건 녹여 형태를 잃건 실재함을 알 수 있다.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힌다. 또한 그 사용처가 나뉘어 흩어져 자칫 쇠의 흐름을 좇다가 쇠의 목적을 본질로 오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야로는 쇠의 흐름을 좇다가 스스로 몰락하였다고 느꼈다.

소리는 실재하지만 영원하지 않다. 소리의 울림은 시간이 지나면 이내 흩어져 사라진다. 머리 속에는 떨림의 잔상이 남지만 전과 같은 소리는 존재할 수 없다. 우륵은 공(空)의 거대함을 깨닫고 조금이라도 소리의 울림에 가까워지기 위해 살았고, 한 나라와 나라 속의 왕국과 그 안의 사람을 담아 악기를 만들어내었다.

아마 그러한 차이가 두 장인의 우명을 가를 힘을 가진 이사부의 눈에는 보였던 것일테다. 이사부는 쇠의 흐름도, 소리의 흐름도 탐구하지 않았으나 생명의 흐름 속에서 살아갔다. 머리가 아닌 몸으로 생명의 흐름들을 접해온 장수는 그 큰 흐름과 맞닿아있는 쇠와 소리를 느꼈을 것이고, 다른 방식으로 흐름을 따르려는 두 장인을 보았고, 달리 판단하여 둘의 길을 갈라놓았다.

인터뷰어와 작가의 대담은 일부러 읽지 않았다. 작가의 말에는 힘이 담겨 있을 것이므로 아직 정리되지 못한 내 생각이 작가의 말에 이끌려 휘둘릴까 두렵다.

같은 이유로 작가의 말도 읽지 않았어야 했지만, 두려움보다 말의 매력이 더욱 커서, 읽지 말아야 했음을 깨달은 것은 이미 모두 읽은 후의 일이었다.

아마, 작가는 언어의 흐름을 탐구하는 사람일 것이다. 나는 내 방식으로 나와 맞닿은 흐름들을 알아가야 할 것이다.



현의 노래(김훈, 2004, 문학동네)



'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기] 꽃이 진다고 그대를 잊은 적 없다.  (0) 2013.06.16
[읽기]바리데기  (3) 2013.02.13
[읽기]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2) 2013.01.17
[읽기]개밥바라기별  (0) 2013.01.10
[읽기]지하로부터의 수기  (0) 2013.01.08
posted by 으앙아아앙
prev 1 next